
행정 부지사, BPA 사장과 면담, 배후 단지 개발 등 현안 논의
항만 공사 제도 균형과 경남-부산 간 상생 발전 방안 모색
경남도는 21일(화) 부산항만공사를 방문해 송 상근 부산 항만 공사(BPA) 사장을 만나 진해 신항의 주요 현안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총 사업비 15조 1천 억 원이 투입되는 진해 신항은 지난 8월 본격 착공에 들어갔다.
진해 신항이 100% 도 행정 구역에 속함에 따라 경남으로 대한민국 해양 물류의 중심축 이동이 시작됐고, 이에 항만 개발과 운영을 담당하는 부산 항만 공사와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날 도는 부산 항만 공사에 항만 배후 단지를 정주와 산업이 공존하는 글로벌 항만 배후 도시로 조성하는 데 사업 시행자로 참여해 줄 것과, 지역 건설업체·장비·인력의 참여 확대를 요청했다.
신항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연도 해양 문화 공간’의 적기 조성과 북극 항로 거점과 연계한 비즈니스 센터 건립에 부산 항만 공사가 나서줄 것을 논의하며, 진해 신항을 중심으로 한 동남 권 트라이 포트 물류 체계 조기 구축을 위한 협력 강화도 당부했다.
특히, 도는 ‘항만 위원 추천권 과 명칭 정상화’가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했다.

진해 신항이 완공되면 신 항만 전체 선석의 61%가 경남에 포함돼 경남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커지게 되므로, 현재 부산 2명, 경남 1명으로 불균형한 항만 위원 추천권을 균등하게 배분하고, 기관 명칭 또한 ‘부산 경남 항만 공사’로 변경해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제도적 균형이 신항과 진해 신항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경남-부산의 공동 발전을 이끄는 견고한 토대가 될 것이라며 부산 항만 공사의 긍정적인 검토와 협조를 요청했다.
박 명균 행정 부지사는 “진해 신항은 경남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대한민국 해양 물류의 미래”며,“부산 항만 공사와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진해 신항을 세계 최고의 스마트 메가포트로 건설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