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영시는 의료 접근성이 낮은 도서지역 치매 어르신들을 위해 지난 10일 욕지면을 시작으로 오는 25일(수)까지 한산면, 사량면에 거주하는 경증 치매환자 34명을 대상으로“찾아가는 도서지역 치매환자 쉼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찾아가는 도서지역 쉼터 프로그램은 의료복지시설 접근이 어려운 도서지역 대상자들에게 이동편의서비스를 제공해 참여율을 높이고 반짝활짝 뇌운동, 음악 치료, 다육이 화분 만들기, 민화 텀블러 만들기 등 뇌 인지자극프로그램을 통해 도서지역 치매 어르신들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와 치매 증상 완화 및 가족의 부양부담을 줄이고 인지 기능의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차현수 보건소장은 “지리적 제약으로 치매관리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이번 프로그램이 활력소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도서지역 어르신들도 차별 없이 치매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통영시, 섬마을 건강은 우리가 지켜요!
통영시, 2025년 찾아가요! 섬마을 통합건강증진사업 운영
통영시는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0일부터 10월 31일(폭염기 8월 제외)까지 도서지역(욕지, 한산, 사량) 건강취약계층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찾아가는 섬마을 건강마중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개면(욕지, 한산, 사량) 도서지역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지역으로 대부분이 근골격계 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어 도서지역 맞춤형 통합건강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시는 실버체조, 심뇌혈관 질환 예방 및 관리, 금연 및 절주, 재활, 영양, 구강 등 통합건강증진팀 구성을 통해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해 도서지역 주민들의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에 힘쓸 예정이다.
특히 매년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실버체조 운동교실’은 올해도 운영된다. 이는 뱃놀이와 같은 전통음악과 트로트 등 흥겨운 음악에 맞춰 쉽고 재미있게 따라 할 수 있는 운동으로 도서지역 주민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신체활동뿐만 아니라 정서적 활력도 제공하고 있다.
차현수 보건소장은 “도서지역 주민들은 건강 정보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만큼, 직접 찾아가서 건강생활 실천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통영시, 치매환자 기억을 지키는 개인집중돌봄사업
통영시치매안심센터, 치매환자 집중돌봄! 우리가 함께 합니다
통영시는 6월부터 11월까지 치매안심센터에서 12명의 전문인력을 통해 재가 치매환자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한 ‘치매환자 기억을 지키는 집중돌봄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증가하는 치매환자에 대한 집중돌봄 관리를 위해 ▲노인 우울척도 전수검사(1·2차) ▲인지강화 활동 제공 ▲치매안심센터 서비스 연계 ▲실종예방 얼굴사진 치매시스템 등록 등으로 치매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돌봄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사업대상자는 맞춤형사례관리 및 시설 이용자(병원, 요양원, 주간센터 등)를 제외한 재가 치매환자들이 대상자이며, 4회 이상 정기적인 가정방문을 통해 건강관리, 복약지도, 영양관리, 상담 등을 제공하고 인지강화 활동(교구, 워크북, 치매관리 운동), 노인 우울척도 전수검사(1·2차), 치매안심센터 서비스 연계, 실종예방 얼굴사진 치매시스템 등록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집중돌봄사업 대상자들에게 사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 서비스의 효과성과 만족도를 평가할 계획이다.
차현수 보건소장은 “이번 집중돌봄사업은 재가 치매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고립 위험을 줄여주는 중요한 돌봄 체계이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